현 정부 들어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서초구로 나타났다. 강남구와 서초구도 서울 평균상승률보다 훨씬 높아 ‘역시 강남불패’를 입증했다. 다만 과열 지역에 대한 분양권 전매 제한과 청약 규제를 뼈대로 한 11·3부동산 대책 후 강남권 아파트값이 내림세로 돌아서 낙폭이 주목된다. 베트남 부동산 18일 KB부동산알리지의 2013년 3월 대비 2016년 10월 말 기준 서울 아파트값 변동을 분석한 결과 서초구는 지난 3년7개월 동안 15.18%나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강남구도 13.59%나 올라 서울아파트값 상승률 2위를 기록했다. 이어 성북구(11.65%)와 송파구(11.38%)도 많이 올랐다. 강남3구 아파트값은 서울 평균 상승률 9.32%보다 4% 이상 많이 오른 평균 13.38%의 상승률을 기록, ‘강남 부동산 불패’를 입증했다. 강남3구 아파트값이 많이 오른 이유는 올해 들어 재건축아파트 가격 급등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적게 오른 곳은 용산구로 2.40% 상승에 그쳤다. 용산구는 용산역세권 개발사업 실패 등으로 아파트값이 하락하거나 보합세에 머물면서 상승률이 하노이 아파트 낮았다. 이어 새 아파트 입주가 없었던 종로구(3.78%)와 개발 호재가 없는 중랑구(3.91%)의 상승률도 저조했다.
경기에서는 광명시가 17.87% 올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이어 과천시가 16.06%로 두번째 많이 상승했다. 인천에서는 서구가 14.22%로 가장 많이 올랐고, 중구(2.3%)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11·3대책 후 서울 강남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하락했다. 이날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초구(-0.03%→-0.06%), 강남(-0.02%→-0.03%), 송파(-0.01%→-0.02%), 강동구(-0.01%→-0.03%) 등의 하락 폭이 지난주보다 커졌다. 과천시 아파트값도 지난주 보합(0.00%)에서 이번 주 -0.02%로 하락했다.
해운대 엘시티 아파트 중 일부 세대가 청약률과 분양권 프리미엄을 부풀리는 ‘작전’에 동원된 것으로 알려졌다. 허위 청약으로 경쟁률을 높인 뒤에 당첨되면 분양 계약금을 환불받은 방식으로 높은 프리미엄을 유도했다는 것이다. 특히 사측은 허위 청약자에게 계약금을 돌려주고 공장 매물 확보한 분양권 일부를 정관계와 금융계 법조계 유력인사들에게 재분양한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나온다.
18일 엘시티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부산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임관혁)에 따르면 지난 7일 엘시티 분양대행사 M사 대표 A 씨(50)를 특경법상 사기, 주택법 위반, 횡령, 공문서위조 등 혐의로 구속했다. 검찰은 올해 7월 엘시티 시행사와 분양대행사 등지에 대한 압수수색에서 엘시티 아파트 청약 관련 서류와 자료를 확보했다. 압수한 서류를 정밀 분석한 검찰은 여러 사무실 별장 형태의 미심쩍은 청약거래를 찾아내 엘시티 시행사 실질소유주 이영복 회장(66·구속)과의 관련성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엘시티 아파트 분양 과정에서 청약경쟁률을 부풀리기 위해 청약통장을 사들이거나 문서를 위조하는 방식으로 조직적인 작전이 진행됐다는 정황을 잡고 수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회장이 M사를 통해 분양 작전에 개입했고, A씨가 이 회장 지시로 로얄층의 미계약분을 확보 한 뒤 이 아파트들을 유력 인사들에게 재분양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로 엘시티 더샵 분양권에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의 프리미엄이 붙었기 때문에 유력인사들이 로얄층을 특혜분양 받았다면 실질적으로 큰 혜택을 보게 된 것이다. 청약률 부풀리기 등에 이 회장이 직접 가담했다면 그는 주택법 위반 등의 혐의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검찰은 이 회장이 유력 인사들에게 아파트를 사전에 편법으로 분양했는지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개 분양 이전에 수천만원을 받고 이들의 명의나 차명으로 사전 오피스 임대 청약을 해 놓은 다음, 일부 미분양 물량 중 프리미엄이 붙을 만한 곳으로 바꿔 주는 수법을 썼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특혜 분양 의혹을 받은 사람들로는 고위직 출신인 전관 변호사, 전직 고위 공무원, 중견기업 회장, 금융기관 전 고위인사 등이 거론되고 있다.
베트남 부동산 하노이 아파트 공장 매물 사무실 별장 오피스 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