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청약시장 현장과 택지지구 일대를 단속을 통해 ‘떴다방’ 등 불법 중개행위 7건이 적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 10월 17일부터 27일까지 시·군, 국토교통부와 합동으로 화성, 안산, 남양주 등지 중개업소 및 시설 65개소에 대해 ‘부동산 불법거래 현장점검’ 실시했다. 이번 단속에서 도는 임시중개시설물(떴다방) 설치, 분양권 불법전매·중개, 청약통장 거래, 다운계약 등 불법 중개행위와 분양권 매매 허위 신고 등을 집중 점검했다. 베트남 부동산 세부 적발 사항은 ▲유사명칭 사용 1건 ▲임시 중개시설물 설치 1건 ▲소속공인중개사 및 중개보조원 고용 미신고 2건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 서명날인 누락 3건 등이다.
떴다방은 주로 무허가 중개업소들이 아파트 모델하우스 인근에 가건물·파라솔 등을 설치하고 현장에서 하는 불법 중개행위다.
또 유사명칭사용은 개업공인중개사 자격 없이 불법으로 ‘부동산중개’, ‘공인중개사무소’ 등의 명칭을 사용한 경우다.
도는 적발된 중개사를 고발 조치하고, 불법 업체에 대해서는 업무정지, 과태료 등의 행정처분을 실시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유사명칭사용은 떴다방을 운영하는 자들의 하노이 아파트 대표적인 수법으로 전매기한 이전에 다운계약 등으로 분양권을 불법 거래하여 높은 수수료를 갈취하는 등 부동산 거래 질서를 크게 해치고 있다”며 “앞으로도 부동산 중개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국세청, 경찰 등과 공조해 단속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10월 마지막주 서울 재건축아파트값의 변동률이 0%로 제자리걸음을 걸었다. 재건축 열풍을 일으켰던 강남(-0.02%)과 송파(-0.03%)도 재건축아파트값이 내렸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4단지, 주공고층7단지,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 신천동 진주의 시세는 500만~1000만원가량 떨어졌다.
◆전셋값 오름세… 송파는 ‘뚝’재건축뿐 아니라 일반아파트값도 약세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1주일 새 0.24%에서 0.12%로 반토막났다.
하지만 강북지역은 아파트값이 오르는 분위기다. ▲강북 0.48% ▲노원 0.32% ▲은평 0.31% ▲구로 0.28% ▲도봉 0.27% ▲강동 0.21% ▲동작 0.21% 순으로 올랐다. SK북한산시티, 래미안트리베라1·2단지의 시세는 500만~2000만원가량 상승했다. 경기도는 ▲과천 0.22% ▲중동 0.15% ▲광명 0.13% ▲일산 0.11% ▲고양 0.10% ▲의정부 0.10% 등이 많이 올랐다.
아파트 매매가격이 주춤하고 있지만 전셋값은 계속 오르고 있다. 전셋값은 서울 0.07%, 경기도 0.05% 올랐다. 서울은 ▲강북 0.52% ▲중구 0.40% ▲은평 0.32% ▲구로 0.24% ▲서대문 0.24% ▲노원 0.20% 순으로 상승했다. 강북구 미아동 래미안트리베라1·2단지와 수유동 사무실 별장 극동은 전셋값이 500만~1500만원가량 뛰었다. 중구 중림동 삼성사이버빌리지, 신당동 삼성은 500만~3000만원가량 급등했다.
반면 송파(-0.09%), 서초(-0.05%), 금천(-0.02%)은 전셋값이 하락했다. 송파는 오피스 임대 인근 신도시 개발로 이주가 많아지면서 전셋값이 1500만~2500만원가량 내렸다. 서초구 서초동 무지개·진흥의 전셋값은 1500만~3000만원 급락했다.
경기도는 ▲일산 0.16% ▲중동 0.12% ▲판교 0.12% ▲성남 0.18% ▲의정부 0.12% ▲파주 0.12% ▲남양주 0.11% ▲부천 0.10% ▲용인 0.10% 등지에서 전셋값이 많이 올랐다. 안양(-0.12%), 평택(-0.06%), 광주(-0.04%)는 전셋값이 하락했다.
베트남 부동산 하노이 아파트 공장 매물 사무실 별장 오피스 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