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뉴스1) 고경호 기자 = ‘부동산 광풍’이 부는 제주지역에서 경매 물건이 씨가 말라가고 있다.
12일 부동산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8월 제주지역 주거시설 및 업무·상업시설, 토지 경매 진행건수가 모두 합쳐도 26건에 그쳤다.
2001년 1월 제주도 경매 통계가 잡힌 이후 역대 최저치이다.
2008년 10월에는 한 달 동안 1008건에 대한 경매가 진행되기도 했다.
15년간 월평균이 대략 310여 건 전후임을 감안하면 기록적인 감소세를 보인 것이다.
2016년 4월 제주지방법원 제101호 법정에서 열린 제주시 영평동 2193번지 소재 모뉴엘 제주사옥에 대한 4차 경매에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가 제주사옥을 172억8000만원에 베트남 부동산 낙찰을 받았다.모뉴엘 제주사옥은 부지 면적 2만665.8㎡에 지하 1층~지상 5층, 연면적 2만2634.3㎡ 규모다. 뉴스1 © News1
2016년 4월 제주지방법원 제101호 법정에서 열린 제주시 영평동 2193번지 소재 모뉴엘 제주사옥에 대한 4차 경매에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가 제주사옥을 172억8000만원에 낙찰을 받았다.모뉴엘 제주사옥은 부지 면적 2만665.8㎡에 지하 1층~지상 5층, 연면적 2만2634.3㎡ 규모다. 뉴스1 © News1
향후 전망도 어둡다.
지지옥션은 최근 낙찰률이 70~80%를 넘나들며 재경매 물건도 줄어들고 있고, 이 같은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최근 금융권의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가계대출 연체율이 낮기 때문에 새로운 경매 물건 수량도 늘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여기에다 최근 제주지역에서 부동산 시장이 활황세를 이어가면서 경매에 나올 물량에 대해 시세보다 높은 가격에 사전에 거래하면서 경매가 취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경매 물량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지지옥션 측은 전망했다.
입찰할 물건이 줄어들면서 경매 참여자도 많이 줄었다.
주거시설의 경우 평균응찰자수가 3.3명에 그쳤으며, 토지도 전월 평균에 절반인 4.2명에 그쳤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제주지역의 경우 시장이 협소하다는 특수성이 하노이 아파트 있는 데다 최근 수년간 이어져온 높은 낙찰율에 따른 재경매 물량 감소와 함께 은행권의 저금리 기조에 따른 낮은 연체율이 지속되고 있어 향후 경매 물건은 감소세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또 “제주지역은 부동산 시장의 활황세도 지속되고 있는 좋은 물건에 대해서는 사전에 시세보다 높은 가격으로 거래를 하면서 경매가 취소되는 사례도 이어지고 있어 경매 물량 감소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2016년 8월 제주지역 용도별 경매지수. © News1
2016년 8월 제주지역 용도별 경매지수. © News1
한편 8월 제주 최고가 낙찰물건은 서귀포시 서홍동 일호지오빌 아파트 133.8㎡형으로, 6명의 응찰자가 몰려 감정가의 99%인 3억8700만원에 낙찰됐다.
최다응찰자 물건은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 소재 임야 3027㎡로, 11명의 응찰자가 몰려 감정가의 362%인 2억8525만원에 거래됐다.
[머니투데이 신희은 기자] [[투자포인트]추석연휴로 이번주 청약은 ‘금산렉시움’ 1곳만…연휴 이후 재개 ]
서울의 아파트값이 3.3㎡당 1853.84만원을 기록하며 전 고점(3.3㎡당 1848.05만원)을 넘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가 내놓은 ‘8·25 가계부채대책’도 달아오른 분양시장을 안정시키는 공장 매물 데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2010년 3월 고점을 기록한 후 글로벌 금융위기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2013년 12월 3.3㎡당 1622.27만원으로 저점을 찍었다. 이후 정부의 LTV(주택담보대출비율)·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 완화와 재건축 가능 연한 단축 등 부동산 경기 부양책으로 반등했다.
올 들어 금융권 여신심사 강화 가이드라인이 적용되며 주춤하는가 했던 아파트값은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분양 흥행에 힘입어 전 고점을 돌파했다. 최근 가계부채 대책도 분양권 전매제한 등 강력한 규제책이 빠지면서 시장에선 공급 조절 청신호로 받아들인 모습이다.
1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 강세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서초는 분양을 목전에 둔 아크로리버뷰(신반포5차), 래미안신반포리오센트(한신 18·24차) 분양 흥행에 대한 기대감이 아파트값 상승을 이끌었다.
9일 기준 잠원동 한신17차는 한 주간 5000만~6000만원,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반포는 2500만~5000만원 가량 올랐다. 강남은 은마아파트 재건축 기대감이 고조되며 3500만~4000만원 뛰었고 개포주공1단지로 2500만원 상승했다.
이밖에 신정동 목동신시가지10단지가 한 주간 1000만~5000만원, 송파 잠실동 주공5단지가 1000만원 가량 올랐다. 8·25 가계부채대책 이후 재건축 아파트에 대한 투자 문의가 오히려 늘었다.
정부가 과열된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해 내놓은 가계부채 대책 후속조치도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을지 미지수다. 서성권 부동산114리서치센터 연구원은 “분양권 전매제한이나 사무실 별장 재당첨 금지가 대책으로 거론되곤 있지만 아파트 시장이 급냉할 수 있어 쉽게 꺼낼 수 없는 카드”라며 “향후 정부 조치와 가을 이사철 시장 향배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주 분양시장은 추석연휴로 쉬어간다. 충남 금산군 ‘금산렉시움’ 1개 단지만 청약접수를 진행한다. 추석이 끝난 다음주에는 총 14개 단지가 견본주택을 여는 등 본격적인 분양이 재개된다.
12일 청약접수를 시작하는 금산렉시움은 초아종합건설이 충남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 5번지 일대에 공급하는 아파트다. 지상 9층, 1개동, 전용면적 84㎡, 총 48가구가 분양한다. 오피스 임대 단지 인근에 금산여중·고, 금산동중, 금산산업고와 금산군청, 금산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올 10월 입주 예정이다.
추석 이후에는 한화건설이 경기 김포시 풍무동 3~5블록 일원에 ‘김포 풍무 꿈에그린 2차’를 분양한다. 지하 4층~지상 23층, 16개동, 전용면적 59~74㎡, 1070가구 규모다. 대림산업은 서울 금천구 독산동 1007-18번지 일대에 ‘e편한세상 독산더타워’ 432가구를 분양한다. 지하 6층~지상 39층, 2개동, 전용면적 59~84㎡ 아파트와 지하 6층~지상 39층, 1개동, 전용면적 26㎡ 427실 오피스텔로 구성된다. 지하철 1호선 독산역이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