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연진 기자] ’11·3부동산대책’이 발표된 지 한 달여가 흐른 가운데 입주 전까지 전매제한이 금지된 서울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경우 집값 상승률이 절반가량 축소됐다. 30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달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0.15% 상승했다. 8개월 연속 오름세다. 다만 오름폭은 한 달 전(0.17%)과 비교해 소폭 줄었다. 서울은 0.35% 올라 지난달(0.43%)보다 상승폭이 크게 줄었다. 경남아파트 Keang Nam 무엇보다 재건축 단지가 몰려 있는 강남권 집값의 하락폭이 컸다. 지난달 무려 1.14% 올랐던 강남구는 이달 0.32% 오르며 상승폭이 4분의1로 급감했다. 강동구(0.79%→0.33%)와 서초구(0.69%→0.32%), 송파구(0.45%→0.33%)도 오름폭이 크게 줄었다.
반면 지방은 0.08% 올라 석 달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오름폭도 전달(0.02%)보다 크게 올랐다. 부산이 0.59%로 전국에서 최고 오름폭을 기록했다.
이어 제주(0.24%), 강원(0.18%), 경기(0.17%), 세종·인천(0.13%) 등이 상승세를 이어갔다.
경기도 평택시 삼성브레인시티 개발지 인근 토지(사진)가 판매 중이다. 베트남 부동산 매각지는 총 3만1934㎡로 성균관대 캠퍼스(예정)와 300m 거리다. 이 땅은 삼성브레인시티 신설 도로에 접해 있으며, 삼성 산업단지와 LG 디지털단지도 차로 10분 안팎 거리다.
평택 삼성브레인시티는 평택 도일동 일대 482만여 ㎡의 부지에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인 주거·대학·산업·상업 기능을 갖춘 글로벌 지식 기반도시다. 2018년 첫 삽을 뜨고 2021년까지 1만4000여 가구, 4만명이 입주 예정이다. 특히 성균관대 제3캠퍼스가 들어서면 대학·기업 간 네트워크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하노이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60만~80만원 선. 내년 브레인시티 토지 보상이 시작되면 보상비가 유입되면서 땅값이 뛸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체 측의 설명이다.
분양 관계자는 “삼성브레인시티 개발이 급물살을 공장 매물 사무실 별장 오피스 임대 타면서 주변 지역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며 “평택의 기존 개발지역 땅값이 3.3㎡당 400만~500만원대까지 뛴 것으로 봤을 때 브레인시티 인근 땅값도 이 정도까지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분양 대금은 법무사합동사무소 새벽이 등기 이전 때까지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