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오경묵 기자 = 서울 강남권 재건축 열풍이 서초구 방배동으로 옮겨가고 있다. 방배동과 서초동을 연결하는 장재터널이 착공한 이후 재건축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어서다.
현지 공인중개업소 대표들은 “단독·빌라 등을 구매해 지분을 확보하려는 사람들은 많은데 매물이 없는 상황”이라고 입을 모았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방배동은 다수의 재건축·재개발 구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업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3구역이다. 이곳은 지하철 2호선 방배역과 직선거리로 400m 가량 떨어져있다. 방배로·남부순환로가 가까워 교통환경이 좋고 상문고·서울고 등 명문고도 가깝다.

GS건설은 방배3구역에 들어서는 방배 에코자이를 다음달 분양할 예정이다. 59~126㎡ 주택형 353가구 중 96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방배동 K공인중개업소 대표는 “2012년 베트남 부동산 분양한 방배 롯데캐슬 아르떼 이후 4년 만에 방배동에서 신규 분양하는 단지”라며 “사업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다른 구역에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어 관심이 쏠린다”고 말했다.
방배동 일대 재건축 중 규모가 가장 큰 방배5구역은 지난 7월 관리처분인가를 받았다. 이수역과 내방역 사이에 위치해있어 방배동 일대 재건축 구역 가운데서는 노른자위 입지로 꼽힌다. GS건설·포스코건설·롯데건설 컨소시엄이 시공을 맡은 이곳은 총 3080가구 규모의 하노이 아파트 매머드급 단지로 재탄생한다. 내년 상반기 중 이주를 마무리하고 공사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내방역과 가까운 방배6구역은 4분기 중 시공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총 1111가구 규모의 대단지가 들어서게 되는 이곳은 지난달 사업시행인가를 받았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현대건설과 대림산업 등 대형 건설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1000가구가 넘는 대단지인만큼 경쟁이 치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른 구역들도 재건축을 위해 잰걸음을 걷고 있다. 방배13구역은 지난달 서초구로부터 조합설립인가를 받았다. 방배14구역은 지난해 7월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뒤 조합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
사업이 가시화되는 지역이 많다보니 매물은 자취를 감췄고 가격은 그만큼 뛰고 있다.
T공인중개업소 대표도 “사당역과 방배역 사이에 위치한 13구역은 공장 매물 조합설립인가가 난 뒤 집주인 대부분이 매물을 거둬들였다”며 “지난 5월만 해도 사당역 근처의 대지지분이 3.3㎡당 4700만~4800만원이었으나 최근에는 5000만원대 중반에도 거래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뉴스토마토 윤석진기자] “분양시장이 과열되는 상황을 대비해 비상대응 방안(Contingency Plan)을 구체적으로 만들어 관계기관과 협의를 완료하고 즉각 집행하도록 준비하겠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29일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제6차 금융개혁추진위원회’를 통해 그간의 금융정책과 시장 상황을 평가하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임종룡 위원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최근 분양시장 과열과 가수요로 인해 분양물량이 집단대출로 고스란히 이어지기 때문에, 주택공급 물량을 조절해 집단대출 증가에 대한 근원적 해결을 하려 한다”며 “이번 방안은 금융 측 대응만으로는 해결에 한계가 있는 최근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사무실 별장 주택정책 등 근본적인 대응을 추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임 위원장은 “시장에서는 가계부채 대책을 두고 정책적으로 큰 전환이라는 평가도 내리고 있지만 한도 규제 등 총량조절책이 빠진 것을 아쉬워하는 목소리도 있다”며 “이런 때 일수록 이번 대책을 제대로 집행하고 의도한 성과를 내 시장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철저히 오피스 임대 집행하고 그 성과를 냉정히 평가·보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가계부채 문제의 해결은 우리 경제와 금융의 체질을 바꾸는 일인 만큼 최우선의 정책순위를 두고 지속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임 위원장은 주택공급 물량 축소로 주택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를 일축하기도 했다. 임종룡 위원장은 “1인당 중도금 보증건수를 4건에서 2건으로 제한하는 등 투기적 수요를 축소하기 위한 수요측면의 대책을 강화한 것”이라며 “밀어내기식 분양을 막으려면 공급과잉에 대한 대비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임종룡 위원장은 기업 구조조정에 대한 의지도 재확인했다. 임 위원장은 “기업구조조정도 일정에 따라 흔들림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며, 특히 대우조선 정상화는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채권단이 정상화 가능성, 대우조선 파산 시 발생할 경제·사회적 충격, 국내 조선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이라며 “대우조선의 자구 노력을 기반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겠다고 결정한 것인 만큼, 정부는 채권단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