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주택 가운데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져 전국의 집 10채 중 6채는 아파트였다. 특히 광주와 세종은 주택 10채 가운데 8채가 아파트인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주택부문 전수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한국의 전체 주택 수는 모두 1637만호로 5년 전보다 11.0%(162만호) 증가했다.
인구 1000명당 주택 수는 320.5호로 2010년 조사 때(296.7호)보다 23.8호 늘었다. 하지만 미국(419.4호), 영국(434.6호), 일본(476.3호)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부족한 수준이다.
주택 중 아파트는 981만호로, 전체 주택의 59.9%를 차지했다. 아파트 비중은 1995년 37.7%에서 2000년 47.8%, 2005년 52.7%, 2010년 57.9%로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 오고 있다. 반면 20년 전만 해도 전체의 절반에 이르던 단독주택(1995년 46.9%) 비중은 꾸준히 줄어 지난해 24.3%(397만호)에 그쳤다. 이 밖에 연립·다세대는 238만호, 기타 20만호로 나타났다.
시·도별로 아파트·연립·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 비율이 가장 베트남 부동산 높은 지역은 인천으로 88.2%였다. 서울(86.2%)과 경기(85.6%)도 비교적 높았고 전남(44.2%)이 가장 낮았다. 아파트 비중만 따로 놓고 보면 광주(77.4%)가 최고였고, 세종(76.8%)이 뒤를 이었다. 제주(32.0%)가 가장 낮았다.
전체 주택 중 빈집은 107만호(6.5%)로 5년 전보다 25만호 증가했다. 아파트 빈집 비율은 5.8%로 1.5% 포인트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세종(20.3%, 1만 6000호)의 빈집 하노이 아파트 비율이 가장 높았고, 서울(2.8%, 7만 9000호)이 가장 낮았다.
하봉채 통계청 등록센서스과장은 “세종은 새로 지어진 아파트로 입주가 막 이뤄지는 과정에 있다 보니 빈집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이라면서 “서울은 낮은 주택보급률 등 지역 공장 매물 특성을 감안하면 아직 주택이 부족한 편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잘만 구하면 시세차익에 개발까지 ‘일거양득’주택 경매보다 까다로워 물권분석∙현장확인 필수
“땅 찾으세요? 경매가 답이죠.”
서울에서 개발할 땅을 찾기 쉽지 않다. 하지만 경매시장을 주목한다면 원하는 기회를 얻을 수도 있다. 잘만 찾아보면 알짜배기 땅도 구할 수 있다.
8일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서울 지역 토지는 법원경매에 매달 80~100건 정도가 나오고, 이중 20% 정도는 주인을 찾는다. 올해 7월과 8월엔 99건과 100건씩 경매가 진행됐고 이중 각각 20건과 24건이 낙찰됐다.
용도지역이 밭인 서울 강동구 암사동 땅. /지지옥션 제공
용도지역이 밭인 서울 강동구 암사동 땅. /지지옥션 제공
물건 수가 워낙 적어 1개 물건의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전체 통계에 사무실 별장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평균 낙찰가율은 매달 수십%씩 크게 출렁이기도 한다. 서울 지역 토지 평균 낙찰가율이 올해 6월 45.2%였다가 7월 64.4%로 상승했고, 8월에 다시 46.6%로 떨어진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대지와 논, 밭, 임야 등 일반적으로 땅으로 생각되는 용도뿐 아니라 묘지나 도로 등도 경매에 나오지만, 보통 토지 경매 물건의 절반 이상은 건축물을 지을 수 있는 대지가 차지한다. 면적은 10㎡ 미만 자투리땅부터 수만㎡까지 다양하다.
서울에서는 거래될 만한 땅이 흔하지 않은 만큼 경매에 나오는 토지는 여러 제한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건물이 위에 지어진 상태에서 땅만 경매에 나오거나 토지 전체 지분의 일부만 경매가 진행되는 경우, 토지를 포함한 지역의 개발이 장기간 정체된 것들이 그 예다.
서울 서초구 방배동 임야. /지지옥션 제공
서울 서초구 방배동 임야. /지지옥션 제공
하지만 주변 지역과 권리관계를 꼼꼼히 확인하면 알짜배기 땅도 찾을 수 있는 만큼 이를 놓치지 않으려는 응찰자들이 늘 경매 물건을 주시한다.
지난달에는 서울 강동구 암사동의 263㎡(79.56평) 밭이 첫 경매에 부쳐졌는데, 무려 42명의 오피스 임대 응찰자가 몰려들었다. 그 결과 감정가(1억9435만원)의 267%인 5억1899만원에 낙찰됐다. 용도상으로는 밭이지만 현재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고, 주변이 한강을 낀 단독주택 단지라 용도변경 후 단독주택 신축이 어렵지 않다는 점이 응찰자들을 끌어들였다.
지난 7월에는 서울 서초구 방배동 99㎡(30평)짜리 임야 지분 절반이 경매에 나왔는데, 4명이 응찰해 주인을 찾았다. 주변에 도로가 없는 맹지인 데다 땅 안에 분묘도 있었고, 전체 지분의 50%만 경매에 나왔지만 감정가(742만원)의 154%인 1140만원에 낙찰됐다. 지금은 그린벨트로 묶여 있고 경찰특공대 영내에 있는데, 부동산 시장에서 쉽게 나오지 않는 ‘강남 3구’ 안에 있는 땅인 데다 앞으로 주변 지역 개발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고가에 낙찰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토지 경매가 일반 주택 경매보다 까다로운 만큼 사전에 꼼꼼한 물건 분석과 현장 확인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건물 신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맹지나 분묘가 있는 땅은 도로 확장 및 묘지 이전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고 입찰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면서 “농지의 경우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먼저 발급받아야 하는데, 발급 기간이 4일 정도 걸리고 발급이 안 되는 경우도 있으니 미리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