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과 SM타운의 증축과 신축이 새로 짜이는 압구정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틀 안에서 추진된다. 서울시는 현재 기존 압구정 정비계획 변경안 대신 베트남 부동산 상업시설에 대한 고려가 함께 포함된 지구단위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이르면 다음달 초 주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압구정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이 예정대로 확정되면 그동안 아파트지구에 묶여 개발이 제한됐던 압구정 아파트지구 일대 상업시설 증·개축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과 SM타운 등 압구정로변 일대를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하는 안건이 전날 열린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압구정동 현대백화점과 SM타운 증개축을 별도 추진안은 철회시키고 압구정 아파트 재건축을 포함한 통합 지구단위계획을 새로 짜겠다는 취지다.
서울시 관계자는 “압구정 아파트지구가 정비계획에서 지구단위계획으로 바뀌면서 하노이 아파트 주요 상업시설도 이 틀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압구정로변 지구단위계획안을 보완해 현재 마련하고 있는 압구정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과 SM타운 외에 갤러리아백화점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또 압구정지구 24개 단지를 6개 구역으로 나누고 각각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이로써 압구정 일대 전체가 9개의 특별계획구역으로 재건축이 추진된다.
현대백화점과 SM타운은 그동안 ‘압구정 아파트지구’에 묶여 사실상 개발이 어려웠다. 이 때문에 작년부터 이들 용지를 아파트지구에서 해제한 뒤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신축이나 증축하는 방안이 추진돼 왔다. 1990년 준공된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은 1977년 서울시가 지정한 ‘압구정 아파트지구’에 포함돼 있는 데다 역사문화미관지구에 묶여 있어 5층 이상 증축이 어려웠다. 현대백화점은 2개 층을 더 올려 최고 7층 건물로 개발할 계획이다. SM타운은 3개로 흩어져 있는 건물을 공장 매물 하나로 합쳐서 최고 6층짜리 사옥으로 신축하는 방안을 마련한 상태다. 갤러리아백화점도 압구정 아파트 재건축에 맞춰 증·개축을 하기 위한 용역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압구정지구 지구단위계획이 단지별 이해관계 등 문제로 주민들에게 공개는 했지만 확정되지 않을 경우 현대백화점 등의 재개발 사업이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강남구 관계자는 “압구정 아파트가 재건축될 때 주변 중심 상업시설도 함께 개발되는 게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기존 정비계획에서 수립됐던 내용을 토대로 지구단위계획으로 바꾸는 작업이 마무리 단계”라고 말했다.
■ <용어 설명>
▷ 지구단위계획 : 도시 내 특정 구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주택, 도로, 학교 등 기반시설의 규모, 용적률 등 기준을 정하는 것을 말한다. 주거에 집중한 정비계획에 비해 상업시설까지 포함된다는 점에서 포괄적이다.
분양시장 활황과 전세난 속에서 분양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인근 시세보다 낮거나 주변에서 먼저 공급된 아파트보다 낮은 분양가격을 책정한 ‘착한 분양가’ 단지들에 실수요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올해 신규 아파트 분양가는 갈수록 오름세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전국 민영아파트 분양가는 3.3㎡당 936만원으로 올해 1월보다 3.54% 상승했다. 수도권은 1438만원으로 1월보다 4.68% 올랐다. 아파트 시세가 오르면서 분양가도 이에 준해 따라가는 형국이다.
그러나 전세난민 등 실수요자를 겨냥한 ‘착한 분양가’ 단지들이 줄줄이 분양시장에 나오고 있다.
30일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전에 나서는 ‘송도 동일하이빌 파크레인’ 평균 분양가는 1100만원대에 책정될 예정으로 인근 송도아파트 매매시세 3.3㎡당 1280만원보다 200만원 가까이 저렴하다. 인천 연수구 동춘동에 위치하고 전용면적 66~93㎡ 총 1180가구로 구성된다. 송도 센트럴파크가 가깝고 롯데마트,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등도 인접해 생활편의시설이 풍부하다. 단지 바로 앞 송도IC를 통해 제2경인고속도로와 인천대교고속도로 등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화건설이 지난 23일 사무실 별장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을 시작한 ‘김포 풍무 꿈에그린 2차’도 착한 분양가가 책정됐다. 3.3㎡당 최저 900만원대부터 시작해 평균 1080만원 정도로 전용 59㎡ 총분양가는 2억4000만~2억7000만원 수준이다. 지난해 분양한 인근 풍무 푸르지오 2차의 전용 59㎡ 분양가는 3.3㎡당 1100만원, 총분양가가 3억원대였던 것보다 저렴하다.
라온건설이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에서 분양 중인 ‘남양주 라온 프라이빗’은 3.3㎡당 850만원대의 합리적 분양가로 주목받고 있다. 앞서 화도읍에서 분양한 남양주 마석 푸르지오의 분양가 3.3㎡당 900만원대보다도 낮다. 또 전용 59~84㎡ 총 2001가구 규모 대단지로 서울춘천고속도로 화도IC가 오피스 임대 가까워 교통여건이 편리하다. 단지 내 캠핑데크와 테마공원을 비롯해 대규모 복합 커뮤니티시설도 조성될 예정이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동문건설은 경기 평택시 신촌지구에서 전용 59~84㎡ 총 2803가구 규모의 ‘평택 지제역 동문 굿모닝힐 맘시티’를 분양 중이다. 평균 분양가는 3.3㎡당 880만원대로 최근 평택 동산지구, 세교지구, 용죽지구 등에서 신규 분양한 아파트들이 3.3㎡당 900만원대 중후반에 공급된 것과 비교하면 저렴하다. 앞으로 2차 분양까지 더해 이 일대에 총 4567가구 대단지가 형성될 예정이다.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홍은14구역을 재개발해 들어설 ‘북한산 두산위브’는 평균 분양가가 3.3㎡당 1480만원 선으로 지난 3월 분양한 ‘홍제원아이파크'(1650만원)와 작년 5월 분양한 ‘북한산 더샵'(1500만원대)보다도 저렴하다. 전용 33~118㎡ 총 497가구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