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국종환 기자 = 역전세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송파구에서 아파트 월세 거래 비중이 대폭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 기조에 한때 50%를 넘보기도 했던 송파구 월세비중은 임대료 부담감을 느낀 세입자들이 위례 등 인근 신도시로 대거 이탈하면서 30%대 붕괴를 목전에 둔 상황이다.
8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까지 확정일자가 신고된 송파구 8월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총 1431건을 기록했다. 월세는 440건이 신고돼 전체 전월세 거래 중 30.75%를 차지했다. 지난해 12월 고점인 41.2% 대비 10.5%포인트 줄어든 것이며 19개월래 최저 수준이다.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월세 거래에는 순수 월세와 준전세·준월세가 포함된다.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경우이고, 준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인 경우를 뜻한다.
송파구 월세 비중은 2015년 2월 처음 30%대에 진입한 뒤 계속 높아져 8개월 만인 10월 40%대에 들어서며 거침 없이 50%대를 치닫는 듯했다. 하지만 12월 41.2% 고점을 찍은 뒤 하락 반전해 지난 8월까지 한차례를 빼고 7개월 동안 하락세로 이어지고 있다.
저금리기조가 지속되면서 송파구에서도 전세에서 월세로의 전환은 추세로 굳어지는 듯 했다. 베트남 부동산 예금금리가 제로 수준으로 떨어지자 집주인들이 예금금리 몇배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월세를 선호하게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례와 하남 미사 등 인근 신도시 입주물량이 대거 쏟아지면서 분위기는 반전됐다. 임대료가 저렴한 신도시로 세입자가 대거 이탈하면서 전셋값 하락과 역전세난이 발생하자 월세 전환 속도는 주춤해졌다. 세입자를 구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공실로 인한 손해를 줄이기 위해 월세 전환을 포기한 것이다.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사무실에 급전세를 강조한 매물이 게시돼 있다.© News1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사무실에 급전세를 강조한 매물이 게시돼 있다.© News1
부동산 114에 따르면 위례와 하남 미사 두 신도시에서 올해에만 2만1311가구의 입주물량이 쏟아진다. 특히 송파구에 인접한 위례신도시의 경우 상반기 5440가구의 입주물량이 공급됐으며 하반기에도 3684가구가 공급된다.
송파구 현지 부동산 업소에선 위례신도시 상반기 입주가 마무리되고 방학동안 학군수요가 하노이 아파트 몰리면서 7~8월 한때 전세 수요가 살아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위례 입주가 재개되자 다시 전월세 매물이 쌓이고 있는 상황이다.
엘스와 리센츠 아파트 등 송파구 대표 단지들이 위치한 신천역 인근에서도 역세권의 저렴한 매물들만 거래될 뿐 그 외 전월세 매물은 거래가 정체됐다. 특히 전셋값이 낮아지면서 월세를 찾는 사람은 더욱 찾기 힘들다.
신천역 인근 H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집주인들이 월세를 받기 위해 보증금을 3억에서 4억 또는 4억에서 5억으로 조정하고 월세를 낮추는 등으로 세입자를 구하고 있지만 찾는 이가 없다”면서 “시장 상황을 보면 송파구 역전세 현상은 아직 먼 것 같아 보인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서초구 아파트 전셋값 하락폭이 확대됐다. 신규아파트의 전세공급과 재건축단지 가격 하락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8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지난 5일 기준)에 따르면 공장 매물 서초구 전셋값은 전주보다 0.11% 내리며 하락폭이 커졌다. 전국적으론 지난주 상승폭 0.03%를 유지했다.
감정원 관계자는 “전세매물 부족으로 일부 수요가 매매 및 전세로 이동하고 신규 입주아파트의 전세공급이 많은 지역은 하락세가 이어지며 4주 연속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며 “서초와 강동은 신규아파트의 전세공급과 재건축단지 가격 하락으로 하락폭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색인도(조사기준일 9월5일)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색인도(조사기준일 9월5일)
수도권(0.05%)은 서울과 인천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되고 경기는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하면서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서울(0.03%)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0.01%포인트)됐다. 강북권(0.05%)은 직주근접 수요로 마포구와 용산구는 상승폭 확대됐으나 광진·노원구가 보합 전환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강남권(0.02%)은 가을 이사철 도래로 양천구와 관악구 등에서 상승폭 확대됐으나 신규아파트의 전세공급과 재건축단지 가격 하락으로 서초구와 강동구의 사무실 별장 하락폭이 확대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됐다.
지방(0.01%)은 세종은 인구유입과 전세만기에 따른 이사수요 증가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이어가고, 울산은 거주선호도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 전환됐고 강원은 상승폭 확대되었으나, 신규주택의 전세공급으로 대구와 오피스 임대 충남 등에서 하락폭 확대되며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시도별로는 세종(0.13%)과 부산(0.13%), 인천(0.07%), 강원(0.06%), 대전(0.06%), 경기(0.05%) 등은 올랐다. 대구(-0.08%)와 경북(-0.06%), 충남(-0.04%), 충북(-0.02%) 등은 내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111→107개) 지역 및 하락(39→35개) 지역은 줄었다. 보합(26→34개) 지역은 늘었다.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알원(www.r-one.co.kr) 또는 감정원 부동산정보 어플리케이션(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