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 시장에서도 서울과 지방 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은 오피스텔 매매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부터 서울과 그 외 지역 간 가격 차이가 점점 더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서울의 오피스텔 1호당 평균 실거래가격은 2011∼2014년 1억8천만원 수준에 머물다가 2015년 2억원을 돌파했고 올해 2억4천713만원으로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2015년부터 가격이 점차 오르기 시작해 올해 1억7천63만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지방은 2016년 1억2천289만원을 기록한 이후 점차 하락해 올해는 1억1천455만원에 그쳤다.
㎡(전용면적 기준)당 오피스텔 실거래가격은 서울이 올해 들어 600만원선을 넘어서며 평균 623만원에 거래됐다.
2015년 ㎡당 500만원을 돌파한 이후 3년 만에 600만원 이상으로 거래가격이 상승한 것이다2009년 400만원을 돌파한 이후 6년 만에 500만원대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상승 속도가 2배로 빨라졌다.
경기·인천은 2017년 소폭 하락한 이후 다시 상승해 ㎡당 351만원에 거래됐다.
지방도 ㎡당 거래가격은 꾸준히 상승해 283만원에 거래가 이뤄졌다.
다만 서울이나 경기·인천의 가격 상승에 비하면 증가 폭은 작
빠듯한 살림에 하루하루를 겨우 넘기고, 밥 먹을 돈도 없어 라면 하나로 몇 끼의 끼니를 떼우는 등… 돈 때문에 힘들어 하던 사람들이 몇 십억대의 자산가가 되는 ‘인생역전’ 이야기를 종종 들을 수 있다. 이런 이야기를 들을때마다 부러움과 질투로 만감이 교차하며 “나도 언젠가는…”이라며 나에게도 인생역전의 기회가 찾아오길 빌게 된다.
TV나 영화 속에서나 인생역전을 이뤄낸 사람들을 볼 수 있을 것 같지만 그 주인공들은 생각보다 가까운 곳에 있다. 김봉윤씨(43세)역시 다른 사람들의 ‘인생역전’이야기를 들으며 누구보다도 그들을 부러워하던 사람 중 하나였다. 그랬던 그가 이제 놀라운 인생역전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었다. 불과 몇 달 만에 현금 자산만 약 20억원에 육박하는 자산가로 다시 태어났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