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고연봉 대기업 직원보다 가늘고(?) 길게 가는 공무원이 취준생들의 워너비가 된 지 오래다.
그러나 이제 평범한 20대 월급쟁이도 ‘건물주’를 꿈꾼다 부동산
밥벌이의 지겨움도, 회사생활의 스트레스도 없이 매달 통장에 꼬박꼬박 찍히는 임대수입을 실현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이다 – 아파트
서울 강남에 위치한 부동산 경매학원은 20대 대학생들은 물론 퇴근 후 – 공장 베트남.강의를 들으러 오는 30대 직장인들로 붐빈다.
과거 은퇴를 앞둔 40~50대 중년이 노후 대비를 위해 이곳을 찾았던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이곳에 다니는 20대 한 직장인은 “노후 대비에는 부동산 투자 만한 것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월급만 모아서는 평생 만질수 없는 고액을 부동산 시세차익으로 버는 – 별장 – 사람들을 보며 상대적 박탈감을 느꼈다. 이제라도 부동산 공부를 하며 투자할 생각이다”라고 밝혔다.
수강생인 현직 공무원들도 “정년과 연금이 보장되지만, 당장 박봉 월급 외 특별소득을 노리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학원 관계자는 “부동산 투자에 관심을 두고 전문성을 키우려는 연령대가 과거와 비교해 확실히 낮아졌다”면서 “요즘엔 대기업보다 공무원이, 또 공무원보다도 건물주가 사무실 – 하노이 – 인기 직종”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현상은 안정적이지만, 임대료가 치솟는 국내 임대시장 동향을 충실히 반영한다.
KB금융연구소에서 발간한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큰 손’들의 재산 절반(52.4%)은 부동산이었다. 이 중에서도 상가, 아파트, 오피스텔과 같은 투자용 부동산 비중이 3분의 2나 된다.
한시도 돈에 대한 걱정을 놓을 수 없는 사회적 현실이 임대업이란 꿈은 참으로 씁쓸하지만, ‘월급빼고 다 오르는’ 현실에서 건물주란 명함은 조물주(?)보다 더 탐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onlinenew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