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법원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9월 전국 주거시설 평균 낙찰가율은 전월보다 2.7%포인트 오른 90.1%를 기록하며 2001년 1월 경매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래 최고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지난달 법원경매 진행 건수는 9379건이었고 이중 낙찰 건수는 3933건을 기록했다. 9월 경매 진행 건수가 지난 7월에 이어 다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올해 경매 총 진행 건수가 13만 건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지지옥션은 전망했다. 베트남 부동산 역대 최저 건수를 기록한 지난해 15만2506건에 비해 연간 경매 진행 건수가 15%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지옥션은 지난달 경매 진행 건수가 이렇게 떨어진 데에는 추석 연휴가 길어지면서 법원 기일이 많이 잡히지 못했던 것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했다.
반면 지난달 주거시설, 업무상업시설, 토지, 공업시설 등을 아우르는 전국 평균 낙찰가율은 66.5%로 전월보다 6.4%포인트 떨어졌다. 이 기간 내 낙찰된 물건 가운데 총 하노이 아파트 감정평가액의 18%에 달하는 감정가 1925억 원대의 임야가 감정가의 21%에 불과한 412억원에 낙찰됐기 때문이다.
평균 응찰자 수는 4.5명으로 전월과 같은 수준을 보였고 9월 총 낙찰액은 1조1244억원으로 8월보다 329억원 늘었다. 물건 당 평균 낙찰액은 2억8591만원으로 전월의 2억5635만원에 비해 3천만원 가량 늘었다.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서울시는 공장 매물 오는 13일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해 지역주민과 전문가, 공무원이 한 자리에 모이는 통합 워크숍을 연다.
워크숍에는 서울시에서 현재 추진하고 있는 13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의 주민을 비롯해 전문가, 공무원 100명이 참여한다. 참가자들은 이 자리에서 지역별 도시재생 우수사례를 소개하고 도시재생 사업 과정의 주요 쟁점사항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지역별 도시재생 우수 사례로는 △서울역의 서울역 고가 하이라인 파크 △창동상계의 ‘창동 61’ △세운상가의 수리협동조합 △장안평의 자동차축제 △가리봉의 사무실 별장 앵커시설 △상도의 ‘골목계단 영화제’ △성수의 ‘성수애서’ △신촌의 대학-지역 연계수업 △암사의 ‘공유부엌’ △장위의 주민협의체 △창신숭의의 도시재생지원센터 △해방촌의 ‘해방촌 페스티벌’ 등이 소개된다.
이어 참가자들은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된 6대 주요 쟁점사항인 도시재생지원센터·주민협의체·행정조직·주민공모사업·앵커시설 운영·성과지표 등에 대해 토론한다.
진희선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번 워크숍은 각기 다른 오피스 임대 지역의 주민과 전문가, 공무원 그룹이 모여 의견을 나누면서 본격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해나갈 힘을 재충전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