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기준 주택 전월세전환율을 산정한 결과 단독주택의 전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감정원은 6월 신고 기준 실거래정보를 활용해 전월세전환율을 산정한 결과 주택종합은 6.8%, 유형별로는 단독주택(8.6%), 지역별로는 지방(8.0%)이 베트남 부동산 가장 높았다고 5일 밝혔다.
정기예금금리(1.6%→1.4%)와 주택담보대출금리(3.0%→2.8%)는 모두 지난 분기 대비 하락한 가운데 이번 달 주택종합 기준 전월세전환율은 지난달과 동일한 6.8%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지역별로는 수도권(6.3%→6.3%)과 지방(8.0%→8.0%) 모두 지난달과 동일한 전환율을 기록했다.
전월세 전환율은 계절적 영향과 전세가격 상승폭 둔화로 인해 최근 보합세이며,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 전환율은 보증금 비율이 높고 전환율이 낮은 준전세 계약이 공장 하노이 증가하며 ‘2011년 1월 통계작성 이래 최초로 3%대 전환율을 기록했다.
주택종합 시도별로는 서울이 6%로 가장 낮고, 경북이 10.1%로 가장 높으며 세종(6.3%→6.2%), 경북(10.2%→10.1%) 등은 지난달 대비 하락했다. 이어서 광주(7.6%→7.7%), 강원(8.1%→8.2%) 등은 지난달 대비 상승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4.9%→4.9%), 연립다세대(7.3%→7.2%), 단독주택(8.6%→8.6%) 순으로 나타나 아파트 및 단독주택은 지난달과 동일한 전환율을 기록했으며 연립다세대는 0.1%p 하락했다.
수도권은 아파트(4.7%), 연립다세대(6.7%), 단독주택(7.8%) 순으로 낮은 전환율을 기록했고 지방은 아파트(5.7%), 단독주택(10.0%), 연립다세대(10.1%)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시도별 아파트는 서울이 4.5%로 가장 낮고, 강원이 7.4%로 가장 아파트 사무실 높으며 제주(5.5%→5.3%), 세종(6.0%→5.8%)은 지난달 대비 하락, 강원(7.3%→7.4%)은 지난달 대비 상승했다.
아파트 규모별로는 소형의 경우 5.5%, 중소형은 4.5%로 소형의 전월세 전환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지방의 소형아파트 전월세 전환율은 6.5%로 지역별․규모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월세 유형별 전환율은 월세 6.7%, 준월세 5%, 준전세 4.5%로 나타난 가운데 수도권은 준전세(4.3%)가 지방은 준월세(5.5%)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립다세대 및 단독주택 시도별의 경우 연립다세대는 서울이 5.6%로 가장 별장 낮고, 부산이 10.5%로 가장 높으며 전북(10.2%→9.6%), 제주(6.3%→5.7%), 대구(8.1%→7.5%) 등이 지난달 대비 하락했다.
단독주택은 제주가 7.2%로 가장 낮고, 경북이 11.8%로 가장 높으며, 경북(11.9%→11.8%), 충북(11.6%→11.5%) 등이 지난달 대비 하락했다.
![]() |
주택종합 시도별 전월세전환율(단위 %). /자료=한국감정원 |
실시간 재테크 경제뉴스│창업정보의 모든 것김창성 기자 solrali@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